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6

공기청정기 DIY #2 공기청정기 DIY #2RL 복사 통계 공기청정기를 직접 제작해 보고 있습니다.외부Frame 가공을 끝낸 후 내부구성용 부품들을 가공합니다.내부부품들은 필터, 팬, 컨트롤러 들을 Frame에 결합할 수 있는 부재들이 대부분입니다.이번에는 대부분을 3D프린터를 사용해서 제작을 해보았습니다.먼저 필터를 높낮이 조절해서 FAN과 밀착을 시켜줄 부분의 핵심부품인 볼트를 제작했습니다.디자인은 Fusion 360에서 작업하고 Cura에서 G-Code를 생성했습니다.손으로 돌릴 거라서 손잡이 부분을 좀 손으로 돌리기 쉬운 형태로 제작해 보았습니다.3D 프린터로 열심히 출력했습니다.외부 나사는 M25에 피치 2mm, 내부 나사는 M15에 피치 1.5mm입니다.나사산을 3D프린터로 1:1로 제작하면 조립이 잘 되지를 않습.. 2019. 12. 21.
공기청정기 간단버전 1 [제작] ​컨트롤 박스를 바닥으로 내려서 설치하도록 기본 디자인을 변경 했습니다.이번에는 나름 미장도 해보았습니다. ^^..3D프린터의 경우 FDM방식은 적층형으로 쌓아가는 방식이기 때문에 중력을 거슬리는 디자인을 하면 되지 않습니다.​전체 조립도 입니다.공기청정기를 핑계로 FUSION 360 실력이 많이 향상된 것 같아서 나름 성과있는 Maker 활동이라고 생각합니다.이번에는 모든 파츠를 3D프린터로 제작을 했습니다.목공 및 CNC, Laser 작업은 전혀 들어가지 않는 구조로 설계 했습니다.비록 3D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거의 20시간 정도 걸리지만 3D프린터가 고생하는 것이라서제작에 인간노동이 투입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사무실용으로 앞으로 3대를 더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인력이 많이 들어가는 디자인은 피.. 2019. 12. 15.
공기청정기 DIY 간단버전 1 [디자인] 미세먼지가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아마 한동안은 미세먼지 해결은 되지 않으리라 생각합니다.나름 살아갈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 같습니다.외출시에는 마스크 집에서는 공기청정기에 메달려 있는 것 이외에 사실 뾰쪽한 방법이 없을 것 같습니다.​공기청정기도 사실 만만치 않습니다.사용하다 보니 방과 거실에 사실 각각 설치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거실에 덜렁 하나 두고 온집안을 커버하기는 역부족 일 것 같기 때문입니다.​공기청정기는 사실 내부 팬 이외에는 딱히 전기세 들어갈 곳이 없기 때문에 전기세 걱정은 에어컨이나 난방기에 비해 별로 없습니다.이번에 DIY제작에 사용한 팬의 경우 소비전력이 22W 밖에 되지 않습니다.보통 방등이 LED등일 경우 40~50W 형광등일 경우 60~100W 정도이므로 대충 감안해.. 2019. 12. 15.
식물성장 LED 최종버전 PCB 아트웍완료 오늘은 오후에 시간을 좀내서 식물성장 LED 최종 버전 PCB 아트웍을 하였습니다. 원래 계획했던 구성안 입니다. 아트웍 중에 약간 변경이 생겼습니다. PCB 폭을 설계안에서는 100mm 로 하였는데 아트웍 할때 90mm 로 수정을 하였습니다. 이번에는 수경재배기에 적용할려면 수량이 좀 되므로 (길이가 500mm 이므로 4단수경재배기 폭이 1m 정도이므로) (8개 정도가 필요합니다.) PCB를 원판으로 주문할려고 합니다. 수율계산을 해보니 100mm 로 하면 로스분이 있어서 아까워서 90mm 로 하였습니다. 그럴경우 원판 한매에서 18장 정도가 나오게 되는군요. 제가 애용하는 PCB 샘플 제작집 기준으로 하면솔더마스크를 흰색으로 하는것이 이쁠것이므로 비용은 아래와 같이 나올것 같습니다. 1. PCB 양산.. 2019. 11. 25.
식물재배용 조명에 대한 정리 그동안 수경재배쪽을 공부하면서 제일 골치 아펐던 부분이 조명부분이었습니다. 수경재배기의 기구적인 부분은 사실 크게 비용면에서 문제가 없을 것 같았고 성능부분만 고려하면 되는 부분이었지만 조명부분은 성능도 중요하지만 문제는 효율과 비용부분이 너무 큰 격차를 보였기 때문입니다. 백열등은 사실 전기세 생각하면 끔찍한 유지비용을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원천탈락 형광등의 경우는 그닥 효과가 없기 때문에 성능부분에서 원천 탈락 남은 부분은 결국 PG형광램프와 LED식물성장조명으로 굳혀 졌습니다. PG형광램프의 경우 형광등과 비슷한 유지비용 그리고 형광등에 식물성장에 필요한 광합성을 위해 적,청파장을 보강한 구조로 성능면에서는 괜찮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 무엇보다도 초기 도입비용이 LED에 비교해서 무척저렴하기 때문입.. 2019. 11. 25.
[ESP32] LCD Nixie module #2 Smart home system에 사용할 controller로 ESP32를 정하고 준비중입니다.​ 이전번에는 I2C 방식의 OLED에 한글 출력루틴을 적용시켜 보았습니다.I2C는 SPI에 비해 속도가 많이 느린것 같습니다.ESP32의 I2C 드라이버가 별로 인 것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대용량 고속데이터가 필요한 부분에는 I2C는 가급적 쓰지않고 SPI방식을 쓰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오늘은 저번에 소개한 LCD Nixie 2번째 디자인을 모델링 해보았습니다.LCD를 6개 쓰는 것은 조금 오버 인것 같아 3개를 사용하고 각각에 시, 분, 초혹은 년,월,일 등으로 메세지를 표현하기로 하고 가로로 배치 했습니다.​ LCD를 이런식으로 3개 배치를 하려고 합니다. 전체 구조 입니다.전면 커버, 투명 폴리카보네.. 2019. 11. 18.
[ESP32] I2C OLED 한글출력 Smart home system에 사용할 controller로 ESP32를 정하고 준비중입니다.​이전에는 SPIFFS Web Server를 올려 보았습니다.각종 html및 Java library와 이미지들을 SPIFFS에 올려 놓고 서비스하는 것입니다.생각보다 동작은 잘 했습니다만 아무래도 어마무시 쌈박하게 빠르지는 않아서 파일 받아오는 동안 굼뜨는 것은 어쩔수가 없습니다.​결국 HTML5에 추가된 manifest cache 기능을 이용할려고 했으나 크롬에서는 동작을 하지 않더군요.HTTP에서는 보안문제 때문에 지원을 하지 않고 manifest파일은 무시를 해버리는 것 같습니다.대신 MS의 에지에서는 정상적으로 동작을 하더군요.​manifest파일을 발견하면 다시 읽어서(꼭 다시 읽을 필요는 없을텐데 이.. 2019. 11. 14.
[ESP32] SPIFFS 를 사용한 WebServer Smart home system에 사용할 controller로 ESP32를 정하고 준비중입니다. 오늘은 ESP32에 Web Server를 올려보기로 했습니다.예전에 ESP8266으로 할때는 속도가 많이 늦고 라이브러리가 안정화가 안되어 동작중 System이 Halt 되버리곤 했었는데 지금은 많이 안정된 것 같습니다.이번에는 ESP32로 진행하고 있는데 아직 큰 문제는 없는 것 같아 다행으로 생각하고 있습니다.​프로그램을 진행하다보면 여러가지 설정이나 조작을 할 일이 생길것 같고 따로 UI를 꾸미기도 그렇습니다.네이티브 앱으로 하려면 최소 3가지를 해야 합니다.일단 PC용을 만들어야 하고 모바일용으로는 안드로이드용, 아이폰용 각각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상호 호환도 안되고 개발툴도 다르기 때문입니다.​하지만.. 2019. 11. 13.
[ESP32] LCD Nixie module #1 Smart home system에 사용할 controller로 ESP32를 정하고 준비중입니다. 지난번에 JPG Image 출력을 시험해 보았습니다. 속도가 원하는 것보다 늦어서 약간의 꽁수를 사용했습니다.​ESP32-WROBER모듈을 사용해서 SPI PSRAM에 Raw Image를 만든다음 Dump 하는 형태로 표현 했습니다.부팅시 SPI Flash에 있는 JPG 이미지를 디코딩해서 Raw Image로 만든다음 SPI PSRAM에 넣어놓고 러닝중에는 이 이미지를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이렇게 해서 240x320 Image를 뿌리는데 40~50ms 정도에 해결을 했습니다.​속도를 높이려는 이유는 일단 이놈으로 Nixie 스타일 LCD시계를 만들어 보기 위해서 입니다.원래는 정식 Nixie관을 사용.. 2019. 11. 13.
[ESP32] JPG Image 출력 시험 Smart home system에 사용할 controller로 ESP32를 정하고 준비중입니다.저번에 ESP32에 2.4" TFT LCD를 부착하고 TFT_eSPI Library를 사용해서 기본 동작을 시켜 보았습니다.오늘은 JPG 와 BMP 이미지를 표시해보기로 하고 작업을 해보았습니다.​240x320 jpg의 경우 100K가 넘고 BMP(24bit color)의 경우는 200K가 넘습니다.저장은 두군데로 시험해 보았습니다.하나는 SD card에 넣어서 시험해 보았고 다른 하나는 내부 SPI Flash에 저장 해서 표시하는 것으로 하였습니다.SD CARD FS system라이브러리는 TFT_eSPI를 기본 드라이버로 사용했고SD는 아래 라이브러리를 사용했습니다.​#include //-- SPI Libr.. 2019. 11. 13.
[ESP32] LCD 드라이버 선택(TFT_eSPI) #스마트홈 시스템을 꾸며보려고 합니다.거기에 사용할 컨트롤러로 ESP32를 정하고 관련 정리를 해나가고 있습니다.​​​ESP32는 나름 내부 메모리가 크고 SPI Flash 혹은 SPI PSRAM을 부착 할수가 있어 메모리 용량문제는 어느정도 해결 될 것 같습니다.또한 MCU도 나름 빠른 놈이라 Display에 적당히 작은 TFT LCD모듈을 사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예전에 사놓았던 240 x 320 2.4" TFT LCD를 붙여보고 있습니다.여기에 쓸만한 드라이버를 고르던중 쓸만한 라이브러리를 골라 당분간 사용하기로 했습니다.TFT_eSPI원래는 Adafruit_ILI9341 와 Adafruit_GFX 를 사용하려고 했었습니다만.이부분은 이전 포스팅에서와 같이 이미 올려 보았습니다만.개인적으로 소스.. 2019. 11. 9.
[ESP32] 자료정리 (Pin map) ESP32를 살펴보고 있습니다. ​ 나이가 먹어감에 따라 기억력이 점점(많이) 떨어집니다. 마치 단기 기억상실증에 걸린 것처럼 돌아서면 잊어 버립니다. 결국 정리하는 습관을 가져야 할 것 같습니다. 원래 정리 별로 못하던 성격이라 그냥 블로그에 정리 해 나가기로 합니다. ​ 개인적인 정리내용이니 내용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하지 말아주셨으면 합니다. ^^ espressif/arduino-esp32 Arduino core for the ESP32. Contribute to espressif/arduino-esp32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ESP32 Arduino 사이트 입니다. ​ ​ ESP32, EWP8266, STM32 보드메.. 2019. 11. 9.